황루시

가톨릭관동대학교 명예교수이자 한국과 아시아의 민속과 굿 분야의 대표적인 학자 황루시는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국문학과에서 「무당굿놀이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6년부터 국내 무속 현장 답사를 시작했고, 1988년부터 일본, 미얀마, 타이완, 베트남 굿에 대한 현지 조사를 바탕으로 아시아 무속 문화의 비교 연구를 시도했다. 1988년부터 2016년까지 가톨릭관동대학교 미디어문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2005년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강릉단오제를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하는데 신청서와 영상 원고를 집필했으며, 2007년 한국구비문학회 8대 회장 및 2011년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을 역임한 바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인의 굿과 무당』 (문음사, 1992), 『우리 무당 이야기』 (풀빛, 2000), 『진도씻김굿(중요무형문화재 제72호)』 (화산문화, 2001), 『팔도 굿』(대원사, 2011), 『뒷전의 주인공』 (지식의 날개, 2021) 등이 있다. 최근에는 굿을 연극 형식으로 재구성하는데 관심을 가져 대표적인 무속신화 〈당금애기〉를 무대화하였고, 〈굿 위드 어스〉, 〈춤, 단오 그리고 신명〉 등의 작품을 연출했다.

오늘
|
내일
|
스크린은 보호할 가치가 있습니다. 또는 스크린을 보호할 가치를 만듭니다.